연구개발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부터 천연물, 반려동물 케어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발견합니다.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부터 천연물, 반려동물 케어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발견합니다.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부터 천연물, 반려동물 케어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발견합니다.

hy 중앙연구소

세계적 수준의 연구기술력을 바탕으로
헬스케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인류의 건강한 삶에 기여합니다.
세계적 수준의 연구기술력을 바탕으로
헬스케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인류의 건강한 삶에 기여합니다.
세계적 수준의 연구기술력을 바탕으로
헬스케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인류의 건강한 삶에 기여합니다.

연구성과

  • 마이크로바이옴
    13
  • 균주 라이브러리
    5096
  • 천연물 라이브러리
    251
  • 개별인정형 원료
    7
  • 美 FDA/NDI
    등재균주
    4
  • 당사 등록 특허
    124
  • 국내외 논문
    150
마이크로바이옴
hy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작으로 마이크로바이옴의 기전을 밝히는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내 몸속의 텃밭
Microbiome
내 몸속의 텃밭 Microbiome
마이크로바이옴은 몸 안에 사는 미생물(microbiota)과
유전체(genome)를 합친 말로 인체에 사는 미생물군
집합체 및 유전 정보를 의미합니다. 95% 이상이
소화기관에 존재하며 피부, 호흡기, 구강 등에도 서식해
건강과 면역에 중요한 영향을 끼칩니다.

성인 기준 38조 개의 마이크로바이옴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인체 체세포 수 대비 1.3배 많은
수치입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몸 안에 사는 미생물(microbiota)과
유전체(genome)를 합친 말로 인체에 사는 미생물군
집합체 및 유전 정보를 의미합니다. 95% 이상이
소화기관에 존재하며 피부, 호흡기, 구강 등에도 서식해
건강과 면역에 중요한 영향을 끼칩니다.

성인 기준 38조 개의 마이크로바이옴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인체 체세포 수 대비 1.3배 많은
수치입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몸 안에 사는 미생물(microbiota)과
유전체(genome)를 합친 말로 인체에 사는 미생물군
집합체 및 유전 정보를 의미합니다. 95% 이상이 소화기관에
존재하며 피부, 호흡기, 구강 등에도 서식해 건강과 면역에
중요한 영향을 끼칩니다.

성인 기준 38조 개의 마이크로바이옴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인체 체세포 수 대비 1.3배 많은 수치입니다.
주요 연구성과
  • [Human] 대장암 환자의 수술 후 장내 유익균 유해균 비율 개선을 통한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확인
    [Human] 중년여성 대상으로 Synbiotics 섭취 후 혈액지표 및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확인
    [Human] 단기/장기 섭취에 따른 위장관증상(GSRS), 대변형태(BSFS) 및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확인 (Micoorganisms, 2022)
  • [Human] 체중, 체지방, 허리둘레, 비만 관련 호르몬(Adiponectin) 및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확인 (Nutrients, 2022)
    [Rodent] 고지방식이 마우스의 비만억제 및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확인 (PLOS ONE, 2013)
  • [Human] 장투과성 관련인자(MMP-2, MMP-9, zonulin, calprotectin) 및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확인 (PLOS ONE, 2013)
  • [Rodent] 비피더스균 발효홍삼의 장내 미생물 불균형 개선을 통한 불안/우울증상 개선, 대장염 증상 완화 확인 (Nutrients, 2020)
    [Rodent] 염증 반응 마우스의 알레르기 비염 증상 완화 및 면역반응 조절 효과 확인 (Journal of medicinal food, 2021)
    [Rodent] 산화스트레스 감소,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로 인한 항염증 효과 확인 (Korean J. plant Res, 2021)
    [Rodent]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불안/우울증상 개선, 대장염 증상 완화 확인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23)
    [Rodent] HY7303 등 유산균 발효 홍삼의 장내 장벽기능의 회복 확인 (Fermentation, 2024)
  • [Rodent] 고지방 식이로 인한 비만 및 고지혈증 증상 완화, 장내 미생물 군집 조절 확인 (Food Science & Nutrition, 2022)
    [Human] 항산화 능력 및 혈액순환 개선 효과 확인 (Diseases, 2024)
균주&천연물
라이브러리
반세기 넘는 시간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균주를 탐색하고, 주변의 꽃과 나무에서 미래를 찾습니다.
이렇게 모인 수천개의 가능성은 과학적 예측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되며,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기능성 소재로 재탄생합니다.
반세기 넘는 시간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균주를 탐색하고, 주변의 꽃과 나무에서 미래를 찾습니다.
이렇게 모인 수천개의 가능성은 과학적 예측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되며,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기능성 소재로 재탄생합니다.
반세기 넘는 시간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균주를 탐색하고,
주변의 꽃과 나무에서 미래를 찾습니다.
이렇게 모인 수천개의 가능성은 과학적 예측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되며,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기능성
소재로 재탄생합니다.
  • 균주 라이브러리
    5096종
  • 천연물 라이브러리
    251종
개별인정형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정 개별인정형 소재
  • L. curvatus HY7601와
    L. plantarum KY1032의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L. curvatus HY7601
    L. plantarum
    KY1032의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체지방 감소 (2019)
  • 프로바이오틱스
    HY7714 (L. plantarum)
    프로바이오틱스
    HY7714
    (L. plantarum)
    피부보습/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2015)
  • 꾸지뽕잎추출물
    위 불편감 개선 (2021)
  • 참나리추출분말
    관절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023)
  • 아쉬아간다 추출물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 완화 (2012)
  • 핑거루트추출분말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2012)
  • 유산균발효다시마추출물
    유산균발효다시마
    추출물
    알콜성 간손상 보호 (2011)
    알콜성 간손상 보호
    (2011)
FDA NDI (신규 기능성 소재) 등재균주
  • L. curvatus HY7601와
    L. plantarum KY1032의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항비만
    L. curvatus HY7601와
    L. plantarum KY1032의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항비만
    L. curvatus HY7601와
    L. plantarum KY1032의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항비만
  • 프로바이오틱스 HY7714
    (L. plantarum)
    피부
    프로바이오틱스 HY7714
    (L. plantarum)
    피부
    프로바이오틱스 HY7714
    (L. plantarum)
    피부
  • HY2782
    (L. paracasei)
    장 건강
    HY2782
    (L. paracasei)
    장 건강
    HY2782
    (L. paracasei)
    장 건강
특허&연구논문
다양한 특허와 SCI급 논문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내외 헬스케어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등록특허
SCI급 연구논문
연구 파이프라인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