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부터 천연물, 반려동물 케어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발견합니다.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부터 천연물, 반려동물 케어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발견합니다.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부터 천연물, 반려동물 케어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발견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합니다.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합니다.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개별인정형

HY7601+KY1032

  • 개별인정형
    프로바이오틱스
    제 2019-4호
  • 체지방 감소
  • 듀얼
    프로바이오틱스
  • 김치 유래
  • 인체적용시험
  • 상온 유통 안정성
원료 정보
원료명
  • L. curvatus HY7601와 L. plantarum KY1032의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유래
  • 김치
기능성 내용
  •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일 섭취량
  • 1 x 1010 CFU
원료 차별성
  • 1일 섭취량 100억
  • 국내 유일 식물성
    김치 유래
  • 한국인 대상
    인체적용시험 2건
  • 듀얼 기능성
    다이어트 / 장 건강
논문
  • 지방세포생성 억제 (세포주) 2건
  •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개선 (동물) 2건
  • 지방대사 활성화 및 콜레스테롤 배출 증가 (동물)
  • 과량의 과당섭취로 인한 대사질환 억제 (동물)
  • 체지방 및 몸무게 감소 (임상) 3건
  • 중성지방 개선 (동물)
  • 혈중 중성지방 개선 (임상) 2건
특허
  •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및 비만 억제
  • 고인슐린, 고혈당증 및 고중성지방혈증 개선
  • 지방세포 분화 유전자 발현 억제
인증
  • KMF 할랄 인증
  • IR52 장영실상 수상
  • NDI status
인체적용시험 결과
시험조건
  • 과체중 피험자 총 72명,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 12주, 1 x 1010 CFU/day
    과체중 피험자 총 72명,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 12주,
    1 x 1010 CFU/day
    출처 : Mo et al., (2022), Nutrients, 15(12), 2484
체성분 분석 결과
  •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군이 대조군과 대비 6가지 신체계측 지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
  • 체중
    -1.4kg
  • BMI
    -0.47kg/m²
  • 허리둘레
    -1.72cm
  • 체지방량
    -0.67kg
  • 제지방량
    -0.69kg
  • 내장지방 면적
    -4.49cm²
혈액 분석 결과
  •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군과 대조군의 비교
  • Leptin 수치
    유의적으로 감소
    -3.99ng/mL
Leptin :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식욕조절과 관련된 호르몬, 지방량과 양의 상관관계
Leptin :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식욕조절과 관련된 호르몬, 지방량과 양의 상관관계
Leptin :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식욕조절과 관련된
호르몬, 지방량과 양의 상관관계
  • Adiponecptin 수치
    유의적으로 증가
    +423.37ng/mL
Adiponecptin :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포도당 수치와 지방산 분해를 조절하는데 관여함, 지방량과 음의 상관관계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군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감소에 영향을 끼치는 균종이 증가하고 체중증가에 영향을 끼치는 균종이 감소함을 확인
  • 체중감소에 영향을 끼치는 균총
    • Bifidobacteriaceae
    • Akkermansiaceas
  • 체중증가에 영향을 끼치는 균총
    • Selenomonadaceas
    • Prevotelaceas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 대조군 및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시 장내 균총의 변화를 확인
  •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시 군간 변화 확인
  • 대조군 : 위약 섭취 전
  • 실험군 :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전
  • 대조군 : 위약 섭취 후
  • 실험군 :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후
출처 : Mo et al., (2022), Nutrients, 15(12), 2484.
출처 : Mo et al., (2022), Nutrients, 15(12), 2484.
피어슨 상관분석 (Pearson correlation analysis)피어슨 상관분석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균총 증가 확인
  •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시 체지방 감소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균총 증가 확인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시 체지방 감소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균총 증가 확인
Bifidobacterium family & Akkermansia genus
균총 감소 확인
  •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시 체지방 증가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균총 감소 확인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시 체지방 증가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균총 감소 확인
    항비만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시 체지방 증가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균총 감소 확인
Faecalibacterium Prausnitizii, Prevotella copri & Coliinsella aerofaciens
Faecalibacterium Prausnitizii, Prevotella copri & Coliinsella aerofaciens